BACK TO LIST
PREV NEXT
용지 규격표 (단위mm)
<  용지 규격 탄생 유래  >

용지규격은 A계열과 B계열로 나누어지는데 그 용지의 규격은 어떻게 정해졌을까?
그 용지의 A.B 규격은 1909년 독일 물리화학자 프레드릭 오스트발트(1853~1932년)에 ​의해 만들어졌다고 한다.
짧은 변(가로)과 긴 변(세로) 비율이 1대 약 1.414 인 직사각형을 응용하면 종이를 계속 반으로 잘라도 종이 모양은 같다.
가장 큰 A0는 크기가 841×1189㎜로 폭과 길이가 1 대 1.414 다.
A0를 반으로 자른 것이 A1(A0를 한번 자름), 이것을 반으로 자른 것이 A2(A0를 두번 자름)다.A2를 반으로 자른 것이 A3(A0를 3번 자름), 흔히 쓰는 A4(210×297㎜)는 A0를 네 번 자른 크기다.
즉, A1,A2,A3, A4,A5등 A뒤에 나타나는 숫자는 전지(A0)에서 반으로 자른 횟수를 의미한다. ​(전지: 종이를 만드는 공장에서 자르지 않는 종이의 명칭)
상기 비율로 종이를 자르면 손실 부분이 없어 효율적이며 "1922년 독일공업규격(DIN) 476호로 제정됐다"고 한다. 
A4 규격 외에도 영국식 국판(636×939㎜)과 4.6판(788×1091㎜), 미국식 레터용지(8.5×11인치) 등 다른 규격도 있다.그러나 미국 영국 등을 제외하곤 독일식 규격이 국제 기준으로 쓰인다.
​A규격과 B규격은 면적으로 구분된다.A0는 99만9949㎟로,100만㎟(1㎡)의 근사값이다.B0는 비율은 같지만 크기가 1030 X1456㎜로 면적이 약 0.5㎡ 더 넓다.B5는 B0를 절반씩 다섯 번 자른 셈이다.

면적을 비교하면 전지 A0는 A4의 16배의 크기가 된다
A0는 A1의 2배(2¹), A2의 4배(2²), A3의 8배(2³), A4의 16배(2⁴).... 즉, A 뒤에 나타나는 숫자에 연계되어 크기가 배가 됨을 알수 있다.
용지규격.png
A2ECB48CED95.jpg
출판인쇄용_용지규격.png